대전을 사람의 만남이 아름다운 도시로,
열린시대 새 지방자치를 만들어갑니다.
보도자료 「학교 끝나면 뭐하니?」 석교동을 중심으로 실제적 방과 후 실태조사 1. 대전참여자치시민연대와 알짬마을어린이도서관은 지난 2006년 7월에 석교초등학교에 재학 중인 초등학생 2학년부터 6학년생 700여명을 대상으로 방과 후 아동 생활실태를 조사하였다. 2. 지난 2006년에 대전참여자치연대에서 조사한 사회양극화 교육․의료부문 실태에서 125만원 이내 가구의 아동은 주로 집에 거주하는 비율이 높은 반면, 175만 원 이상 가구의 아동은 학원을 주로 이용하는 것으로 조사된 바 있다. 이는 안정적으로 운영되는 곳이 특별히 없는 상황에서 방과 후 아동을 보호하는 방법이 부모의 경제적 능력에 따라 좌우되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3. 사회양극화 실태조사가 경제적 격차에 따른 방과 후 아동 보호의 문제점이 중심이었다면 이번 조사는 방과 후 기관별 아동의 활동내용과 그에 따른 만족도를 중심으로 이뤄졌다. 조사에서 나타난 방과 후 아동들의 실태를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방과 후 보호가 필요한 열쇠아동의 수가 급격히 증가하고 있었다. 학부모 모두가 직장을 다닌다고 응답한 학생이 전체 53%(394명)에 이를 정도로 맞벌이 가정이 늘고 있으며 등교할 때 학생이 직접 문을 잠그는 경우가 8.9%(70명)이고 하교 때 집에 아무도 없는 경우가 24.6%(192명)에 이르렀다. 2004년에 대전시에서 조사한 6%보다(등교 시 직접 문을 잠그는 경우, 저소득 취업여성 자녀의 방과 후 보육에 관한 연구) 높게 나왔으며 하교 시 열쇠아동은 등교 때보다 3배나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방과 후 아동보호가 사교육에 의존하고 있었다. 방과 후 이용기관 1차 선택에 있어서 학원을 선택한 학생이 무려 55%(434명)에 이르렀으며 하교 시 열쇠아동이 학원을 이용하는 경우가 53%(102명)로 나타났다. 학생들이 학원을 가지 않을 경우 그 다음으로 집을 선택하였으며 학교는 세 번째 순위였다. 셋째, 방과 후 기관이 학업의 연장선으로 운영되고 있었다. 방과 후 기관이 사회적 관심과 이용률이 증가하게 된 것은 사교육의 열풍과는 다른 차원으로 아동보호의 욕구가 증가하였기 때문이다. 방과 후 기관에 가고 싶은 이유로 숙제와 공부를 할 수 있다는 의견이 2위로 높았으며 가장 좋았던 활동으로 영어와 수학․속셈이 3, 4위를 차지하였다. 그러나 방과 후 기관에 가고 싶은 이유로 새로운 활동들을 배우고 친구들과 놀고 싶어서가 각 1위, 3위로 높게 나타났으며 싫었던 활동으로 영어와 수학․속셈이 각 2, 3위를 차지하는 등의 상반된 의견이 나타나고 있다. 학생들이 활동적으로 친구들과 놀고 싶음에도 불구하고 학업에 도움이 되는 학습활동의 필요성을 느끼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 넷째, 방과 후 기관이 학생들이 쉴 수 있는 역할과 공간이 전무하였다. 방과 후 기관에 가기 싫은 이유로 1순위가 피곤해서였으며 방과 후 기관이 불편한 이유로 기타항목 다음으로 쉬고 싶을 때 쉴 공간이 없다가 두 번째로 높게 나타났다. 방과 후 기관이 학습과 놀이에 대한 프로그램은 다양하게 소개되고 있으나 정작 학생들이 학교교육 이후 편안하게 휴식을 취할 수 있는 공간과 역할에 대한 고민은 전무한 상태이다. 4. 이번 조사는 석교초등학교 재학생만을 대상으로 조사되었기에 대전지역의 평균적 실태로 연결하기에는 한계가 있는 것으로 보인다. 그러나 그 동안 방과 후 아동보호의 문제점으로 드러났던 사항들이 석교동에서도 여실히 나타나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방과 후 보호아동의 수가 소득계층에 관계없이 증가하고 있었으며 방과 후 기관이 보호자가 없는 집을 대신하여 보호와 휴식의 공간으로써의 역할고민이 부재한 상태에서 여전히 학습위주의 운영방식을 가지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5. 따라서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방안으로, ▶ 동별 방과 후 아동보호를 위한 실무기구 및 연계망 구축, ▶ 방과 후 운영을 학습중심의 교실형태에서 휴식과 활동이 가능한 공간 확보, ▶ 방과 후 다양한 활동이 이뤄질 수 있는 거주지 근접형 문화시설 확충, ▶ 저출산․고령화 정책에 방과 후 아동보호까지 확대하여 사회적 책임을 강화해야할 필요가 있다. 또한 방과 후 아동보호의 정책과 운영모델에 대해 전문가와 현장실무자로 구성된 정책기구가 집중적인 논의를 할 수 있는 장이 마련되어야 할 것이다 ※ 본 자료는 대전참여자치시민연대 홈페이지(www.cham.or.kr/주요이슈방)에도 올려져 있습니다. 주요문의는 백경원 간사(042-331-0092)에게 연락바랍니다. 대전참여자치시민연대 공동의장 김영숙, 송인준, 윤종삼, 이동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