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종시 수정논란에 이어 또다시 충청민을 기만하는 이명박 대통령을 규탄한다!
한마디로 어이가 없다. 일국의 대통령이 한 약속이 이렇게 허무하게 손바닥 뒤짚듯 할수 있는지 한 시대를 살아가고 있는 한 국민으로서 부끄러움을 금할 수 없다. 정치는 최소한의 약속과 신뢰가 뒷받침되어야 국민들로부터 지지받을수 있다. 그런점에서, 이명박 대통령이 지난 2007년 수차례에 걸쳐서 약속했던 과학벨트 충청권입지 약속을 바꾸려면 이유있는 해명과 국민들에 대한 설득이 전제되어야 한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오늘 이명박 대통령은 방송좌담회를 통해 논란이 되고 있는 국제과학비즈니벨트 입지논란에 대해, 공약에 얽매이지는 않겠다면서, 4월5일 이후 과학벨트추진위원회가 구성되면 백지상태에서 입지가 결정될 것이라고 강조했다.
지난 2007년 대선에서의 과학벨트 충청권입지 약속은 충청권 표심에 상당한 영향을 미쳤음에도 이제와서 정치적 사안이다 보니 혼선이 있었다는 변명으로 얼버무리는 대통령의 가벼운 상황인식에 실망을 금할 수 없으며, 세종시 수정논란에 이어 또다시 지역민들을 자극하는 행위에 대해 치가 떨릴 따름이다.
아울러, 이명박 대통령의 세종시는 정치적으로 이뤄진 것이고 과학벨트는 국가백년대계가 걸린 과학적인 문제라는 발언 또한 수정논란 끝에 두차례나 국회에서 여야합의를 통해 통과된 행정도시건설관련 세종시 설치법마저 부정하는 것으로 이는 법치주의를 부정하는 행위이자 여전히 수도권 중심의 편협한 사고로밖에 보여지지 않는다.
과학벨트 입지약속 백지화는 결국 지역분열과 지역갈등, 국론분열을 통해 정치적 이익을 보려는 것으로 보여진다. 더 이상 독선과 독단으로 점철되고 있는 이명박 대통령의 국정운영방식에 대해 방관해서는 안될 것이다. 이명박 정권에 의해서 저질러지고 있는 지방분열, 지역갈등, 국론분열을 저지해야한다.
이제는 더 이상 물러 설수 없다. 이명박 대통령의 대표적인 충청권 공약사업이자, 정부가 국책사업으로 추진해왔던 과학벨트 충청권입지 약속이 백지화되는 비상 상황임을 인식하고, 이명박 정부의 부도덕한 행위에 대해 더 이상 좌시하거나 묵과하지 않겠다는 결연한 의지를 천명해야 할 것이다.
불필요한 국론분열과 정부정책의 신뢰성에 심각한 후유증이 예상되는 과학벨트 충청권입지약속 백지화계획을 이명박 정부는 지금 당장 포기해야 한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지역민심과 배치되는 졸렬한 백지화음모를 지속한다면 충청권 지역민들은 정부정책을 바로잡기 위한 행동은 물론, 정권 퇴진 투쟁도 불사할 것을 각오해야 할 것이다.
2011년 2월 1일
대전참여자치시민연대 공동의장
김형돈 성광진 이현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