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전을 사람의 만남이 아름다운 도시로,

열린시대 새 지방자치를 만들어갑니다.

칼럼·기고·주장

도시정비와 커뮤니티
  • 186

 

어느덧 우리 나라도 과거의 성장위주 사회에서 벗어나 안정을 추구하는 사회로 바뀌고 있다. 도시도 마찬가지여서, 그 동안 도시는 늘어나는 인구와 다양한 기능들을 수용하기 위한 성장과 각종 개발을 거듭해 왔으나, 지금은 새로운 개발보다는 만들어 놓은 공간을 제대로 정비하고 또한 관리하는 것에 더 많은 관심을 기울이고 있다. 그런데 도시는 만들기보다 관리하기가 더 힘들다고 한다. 미개발지에 새로운 도시를 건설하는 일도 어렵고 힘든 일이지만, 이미 만들어진 도시에서 사람들이 생활을 꾸려나갈 수 있도록 도시공간을 유지․관리하고 또 변화하는 사회적 요구에 대응하여 도시를 변모시켜 가는 것은 훨씬 더 어렵다는 것이다. 왜 도시를 유지하고 관리하는 것이 도시를 새로 만드는 것보다 더 어렵고 힘든 것일까? 그것은 신규 개발을 통해 도시를 만들어 가는 것과는 달리 이미 만들어진 도시에는 사람들의 다양한 삶이 담겨져 있기 때문이다. 이곳에는 주민 개개인의 삶이 있고, 주민들의 모듬살이인 다양한 형태의 커뮤니티가 형성되어 있기 때문이다. 도시정비는 주민들의 삶의 질을 개선시키고, 생활의 불편을 해소하기 위하여 생활환경을 개선하고 정비하는 일련의 활동으로, 기존 도시지역 내 특정 지역의 물리적․사회적 환경을 개선하여 넓게는 도시 전체의 발전을 도모하고 좁게는 해당 지역사회 주민의 삶의 질을 향상시키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하지만 그 동안 우리의 도시정비는 사실상 더 많은 주택을 공급하고, 다양한 형태의 업무 및 상업공간을 효과적으로 공급하여 공간 이용의 효율성을 증대시키는 것이 주관심사였다. 지역에 담겨 있는 주민들의 삶과 다양한 커뮤니티는 간과되었으며, 정비사업을 통해 언제든 더 나은 새로운 것으로 대체될 수 있는 것으로 여겨졌다. 때문에 지역사회와 해당 지역 주민들에게 미치는 영향을 고려하기는커녕 오히려 그 동안 도시정비는 지역에 형성되어 있는 유․무형의 자원들의 가치를 제대로 평가하거나 존중하기보다 무시하고, 단지 정비대상 혹은 정비의 장애물로 취급하여 파괴하면서 진행되어왔다. 이로 인해 도시정비가 이루어진 지역과 그 주변이, 이전보다 오히려 더 많은 문제를 안고 있는 경우를 흔히 찾아볼 수 있다. 사실 그 동안 도시정비는 주민과 지역을 고려하여 이루어지기보다 상업주의적 이해관계에 따라 추진된 측면이 있으며, 그 결과 부동산 투기와 주택 가수요를 촉발하는 결정적 계기가 되었다. 주민들 역시 도시정비를 자신들의 커뮤니티를 유지·발전하는 작업이라고 여기기보다 재산증식의 수단으로 여기고 있었던 것이 사실이다. 현대 도시의 개별화되고 원자화된 개인과 가족을 지역적 정서적 유대감으로 묶어줄 수 있는 것이 바로 커뮤니티이다. 도시정비에서 우리가 정비해야 할 것인 동시에 또한 정비과정에서 반드시 지켜야 할 것이 바로 주민들의 삶과 그것의 모듬살이인 커뮤니티이다. 앞으로 도시정비에서 커뮤니티를 보전하고 또한 활성화하기 위해서는 무엇보다 먼저 정비에 대한 우리의 근본적인 인식이 바뀌어야 하며, 커뮤니티 정비에 대한 접근방식과 정비의 내용 또한 하나씩 바꾸어 나가야 할 것이다. 홍인옥(한국도시연구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