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전을 사람의 만남이 아름다운 도시로,
열린시대 새 지방자치를 만들어갑니다.
최근 대전시는 홈페이지를 개편하면서 주요 사업을 중심으로 별도의 홈페이지를 구축했다. 그만큼 주력사업과 시민들 관심 분야에 더 많은 정보를 제공하겠다는 취지로 생각된다. 그러나 대전시가 제공하는 정보의 중립성과 인터넷의 장점이라 할 수 있는 쌍방향 커뮤니케이션 활용은 미약하다는 생각이든다. 대전시의 개발관련 사업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는 도시주택정보(http://urban.daejeon.go.kr)라는 홈페이지를 방문해 보자. 현재 대전시는 서남부권 개발를 비롯하여 학하지구 도시개발사업, 78개 지구에서의 도시(재)개발이 이루어지고 있다. 그리고 210여지구에서 도시(재)개발이 예정에 있다. 공간개발은 시민들의 삶과 밀접한 부분이고 미래대전의 모습을 결정짓는 중요한 사업이다. 그만큼 대전시는 이 사업에 대해 홍보성의 정보가 아닌 시민들의 주거권과 재산권 그리고 미래도시에 대한 시민들이 선택할 수 있는 정보를 제공하고 홈페이지를 통한 의견을 청취하고 적극적으로 민원을 해결 해야 한다. 실제로 홈페이지를 통해 제공하는 정보가 지역주민들이 판단할 수 있는 근거를 제공하는 정보인지는 의문이다. 그 이유는 (재)개발에 대한 정보와 현실세계에서 벌어지고 있는 상황의 괴리감 때문이다. 그리고 그 괴리감으로 인하여 시민들의 혼란스러움은 가중되고 있다. 정책적으로 원도심을 재생하자고 하는데 한쪽에서는 대규모 택지를 개발하고 있다. 또한 개발로 인한 환경파괴는 늘 지역공동체를 분열시킨다. 주거환경개선사업도 도시저소득주민을 위한 개발임에도 불구하고 주민의 입장에서의 개발이 아닌 업체의 과도한 이익만을 대변하고 있다. 그리고 사회적 문제도 불거지고 있다. 모 언론에서 보도한 것 같이 정비업체의 불법으로 인한 경찰수사와 압수수색이 실시됐고, 추진위 내부 갈등으로 공동체가 파괴되고 있다. 경부고속철로변 정비사업 역시 대전역을 중심으로 형성된 노숙자 문제를 감안하지 않고 사업을 진행하고 있다. 정보사회에 사는 우리들은 정보의 바다에서 허우적 되고 있다. 정보는 약이 되기도 하지만 독이 될 수 있다. 그렇기 때문에 지방자치단체가 제공하는 공공적인 정보는 특정 계층의 이익만을 대변하는 선전용이 되어서는 안된다. 민선4기가 출범한지 1년이 다가온다. 지방자치단체는 행정집행에 있어 시민들이 판단할 수 있는 정보를 주었는지, 또한 홈페이지를 통해 얼마나 많은 시민들의 의견을 청취하려고 노력했었는지 생각해봐야한다. 당신이 제공하는 정보는 아름답지 않아도 된다. 제공하는 정보와 현실세계의 괴리감을 줄일 수 있게 투명한 정보만 제공하면 된다. 정보를 통한 선택은 결국 시민의 몫이다. 추명구 팀장(연대기획)