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전을 사람의 만남이 아름다운 도시로,
열린시대 새 지방자치를 만들어갑니다.
▲ 대전참여자치시민연대 금홍섭 사무처장
"과학벨트, 홍보부터 해라"
충청민들 분노 끓지만 내용 잘 몰라...배경, 대응방안 인식이 우선
2011년 02월 09일 (수) 20:10:24 김종연 기자 tjbreak@naver.com
【대전=대전포스트】김종연 기자 = 과학벨트 공약철회에 대한 투쟁의 목소리가 높아지고 있지만, 미온적이라는 반응도 적지 않다. 그렇기 때문에 지역민들에게 충분히 배경과 절차, 중요성, 대응방향을 인식시키고 나아가 전 국민적 공감대까지 형성하는데 노력을 기울여야 된다는 주장이 제기됐다. 대전참여자치시민연대 금홍섭 사무처장은 <대전포스트>와의 인터뷰에서 \"언론과 기관, 시민단체, 정당이 풀어나가고자 하는 의지를 알리고, 홍보하는게 과학벨트를 지키는 과정\"이라며 \"세종시부터 오송까지 산업기반이 마련된 최적의 조건을 갖췄다는 게 이미 다 확인됐다. 지역민의 동의와 합의를 넘어 전 국민적 합의와 당위성을 통해 알리는 작업을 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금홍섭 사무처장은 \"언론보도의 비중이 적지 않다\"면서도 \"일반시민과 도민들은 잘 모른다. 과학벨트에 대한 이해가 부족하다. 백지화해도 분노는 끓고 있지만 구체적 이해가 부족해 관심도가 떨어지는 것은 사실\"이라며 \"과학벨트의 배경과 문제점, 대응 방향을 폭 넓게 갖기 위해 노력해야 한다\"고 말했다. 그는 이어 \"지역 이기주의를 위한 이슈파이팅이 아니다\"라면서 \"과학벨트 사안은 다르다. 집회도 중요하지만, 지역민과 과학계의 공감위한 노력도 게을리 하지 말아야 한다\"며 오피니언 그룹의 역할과 책임을 강조하기도 했다. 한편, 그는 지역정치권의 유치사수 홍보전에 대해 \"지역분열을 극복하는데 이런 행태는 전혀 도움이 되질 않는다. 갈등과 분노의 지방정치의 시대적 사고\"라면서 \"자기 정파의 이익을 대변하기 위한 과도한 행동은 갈등을 조장하고 분열시킨다\"고 경고했다. <다음은 금홍섭 사무처장의 일문일답> ◇최근 이명박 대통령이 국제과학비즈니스벨트 공약 철회로 지역이 술렁인다. =일국의 대통령이 한 약속이 이렇게 허무하게 손바닥 뒤집듯 할 수 있는지 어이가 없다. 그것을 넘어 실망스럽기 짝이 없다. 정치는 최소한의 약속과 신뢰가 뒷받침돼야 하는 것 아니냐. 그래야 국민들로부터 지지받을 수 있는데, 이명박 대통령이 지난 2007년 수차례에 걸쳐서 약속했던 과학벨트 충청권입지 약속을 바꾸려면 이유 있는 해명과 국민들에 대한 설득이 있어야지 관심을 끌려고 그랬다는 식의 발언은 정말 어처구니가 없다. 사실상 과학벨트 충청권입지 약속은 대선에서 충청권 표심에 상당한 영향을 미쳤음에도 이제 와서 정치적 사안이다 보니 혼선이 있었다고 핑계를 대는데, 세종시 수정논란에 이어 또다시 지역민들을 자극하는 행위에 대해 치가 떨릴 따름이다. ◇각 정당이 이번 과학벨트 유치를 두고 홍보하고 있다. =지역분열을 극복하는데 이런 행태는 전혀 도움이 되질 않는다. 갈등과 분노의 지방정치의 시대적 사고다. 자기 정파의 이익을 대변하기 위한 과도한 행동은 갈등을 조장하고 분열시킨다. 바람직하지 않은 원인을 제공한다. 작은 정파도 스스로 극복해야 한다. 지역과 정파를 초월하고 대동단결적 사투를 벌여야 한다. 정치권의 자제와 충청민의 민심을 끌어내기 위한 노력이 병행돼야 한다. ◇초당적 자세로 과학벨트 유치에 한 목소리 내지만, 대응이 너무 약하다고 본다. =언론보도 비중이 적지 않다. 하지만, 일반시민과 도민들은 잘 모른다. 과학벨트에 대한 이해 부족하다. 백지화해도 분노는 끓고 있지만 구체적 이해가 부족해 관심도가 떨어지는 것은 사실이다. 과학벨트의 배경과 문제점, 대응 방향을 폭 넓게 갖기 위해 노력해야 한다. 언론과 기관, 시민단체, 정당이 풀어나가고자 하는 의지를 알리고, 홍보하는게 과학벨트를 지키는 과정이다. 과학벨트는 의미 있는 사업이다. 2000년대 초반부터 언급됐다. 세종시부터 오송까지 산업기반이 마련된 최적의 조건을 갖췄다는 게 이미 다 확인됐다. 지역민의 동의와 합의를 넘어 전 국민적 합의와 당위성을 통해 알리는 작업을 해야 한다. ◇다소 주민들의 반응이 시원치 않다. 실망스러운 면도 있지만, 적극적이지 못하다. =국제과학비즈니스벨트는 30~50년을 내다보는 미래향한 전초기지다. 과학정책의 밑그림을 그리는 중요한 정책이다. 정부와 과학인들이 그렇게 얘기한다. MB정부 이후 과학이 대접받지 못한다. 입지조건이 좋고, 미래의 과학을 실현하는 최대의 조건이다. 과학자들의 입에서 입으로 전달되는 것도 중요하다. 참여와 공감대 형성을 위해 우리지역이 우선 먼저 나서야 국민적 공감대를 형성할 수 있다. 지역 이기주의를 위한 이슈파이팅이 아니다. 이미 영남권을 거점으로 하는 공항을 만든다고 발표하자 과열양상을 보인다. 그런데, 이번 과학벨트 사안은 다르다. 그렇게 볼 것은 아니다. 집회도 중요하지만, 앞서 밝힌 것 같이 지역민과 과학계의 공감위한 노력도 게을리하지 말아야 한다. 더 나아가 지역 오피니언 그룹의 역할과 책임도 크다. 행정기관 장들도 있지만, 정치권과 언론, 시민사회도 중요하다. 과학벨트 사수 싸움에 작은 정치적 이해관계를 극복해야 한다. 기관장이 우선 솔선수범하는 노력을 보여야 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