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전을 사람의 만남이 아름다운 도시로,

열린시대 새 지방자치를 만들어갑니다.

칼럼·기고·주장

지역 언론이 답할 때다
  • 189

이기동(회원 대전충남민언련 사무국장)

 

최근 대전시 4개 공공기관이 비위 언론인에 대한 출입금지 조치와 함께 광고, 구독을 금지하는 출입기자 제한조치를 시행하고 나섰다. 지난 연말 세종시에 이어 충남도와 대전시까지 충청권 3개 자치단체가 중심이 돼 사이비 언론을 퇴출하겠다는 의도다. 부끄럽게도 대전, 세종, 충남지역은 사이비 기자 논란에서 자유롭지 못하다. 이번 출입기자 제한조치의 빌미가 된 건 지난해 세종지역 기자들의 무더기 구속 수감 사태다. 세종 지역 기자들은 신도시 건설로 각종 건설사업이 진행 중인 세종시 건설 현장을 돌아다니며 불법행위를 눈감아주겠다는 빌미로 적게는 수 십 만원에서 많게는 1,000여 만원이 넘는 돈을 갈취했다. 이런 수법으로 총 6,000여 만원을 받아 챙겼다고 한다. 하지만 이는 빙산의 일각에 불과하다. 세종시 만의 문제도 아니다. 세종시로 승격되기 전 연기군을 비롯해 공주, 부여 등 금강유역 주변 골재채취를 둘러싼 이권 개입, 협박 등으로 이들 지역 주재기자들의 구속, 수감은 해마다 반복되곤 했다. 일부 지역 주재기자만의 문제라고 치부하기도 어렵다. 지역 유력 일간지들이 광고 집행 거부를 빌미로 출입처에 대한 보복성 기사를 남발해 지역사회의 지탄을 받기도 했다. 이 같이 각종 비위 행위로 인해 사법처리를 받은 사이비 언론인의 퇴출을 위해 지역 자치단체를 비롯해 공공기관이 나선 것은 당연한 일이다. 하지만 씁쓸한 생각을 지울 수 없다. 결국 지역언론의 문제를 언론 스스로 해결하지 못하고 외부의 힘에 의해 강제당하는 상황이 됐기 때문이다. 아마도 과거 같았다면 언론자유 침해 또는 공공기관의 지역 언론 길들이기라며 반발 했을 지역 언론의 반응도 의외다. 지역 공공기관들의 출입기자 제한조치를 순순히 받아들이는 모습을 보이고 있다. 어찌보면 언론 스스로도 지역 내 사이비 기자 문제가 생각보다 심각하다고 느끼고 있기 때문일 것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보다 근본적인 대안이 필요하다. 단순히 출입기자단을 규제한다고 사이비 언론을 퇴출시키지 못한다. 비위 행위로 금고이상의 형을 받은 기자의 출입 제한과 해당 언론사에 대한 광고집행, 구독 금지가 뒤 따른다고 하지만 소위 메이저 언론에 대한 제재가 제대로 이루어 질 지도 미지수다. 대부분 문제가 되는 경우 형 확정 판결 이전에 개인적 비위행위로 징계 조치 후 해고 또는 권고사직 시키는 게 일반적이기 때문이다. 문제가 된 기자가 출입처에 출입 하는 일이 거의 없다고 봐야 한다. 또한 대부분 사이비 기자 문제가 발생하는 경우 메이저 언론의 본사 소속 기자보다는 시, 군 주재기자, 영세한 규모의 언론, 일부 특수지 기자 등이 연루되는 경우가 대부분이다. 보다 실효성을 거두기 위해서는 대전, 세종, 충남도 등 광역자치단체 뿐만 아니라 시, 군 등 기초자치단체, 지역 내 주요 공공기관의 참여도 필수적이다. 기자 개인의 문제로 접근해서도 안 된다. 언론인, 언론계의 총체적인 문제다. 출입기자제도 및 출입처 제도 자체의 개혁과 함께 가야 한다. 지역 언론계 전체가 공멸의 길로 갈 수 있는 중대한 문제다. 열악한 지역 언론환경은 기자들의 사이비 활동의 유혹에 빠지기 쉽게 한다. 최근 언론사 차원에서 출입기자들을 이용한 광고 유치를 추진하는 사례가 부쩍 늘고 있다. 지난해 충북지역의 경우 언론사 주최 행사에 대한 지자체의 후원, 협찬에 대한 무더기 사법처리 당한바 있다. 대전충남지역도 사정이 다르지 않다. 언론사 규모를 떠나 거의 대부분의 언론사 환경이 개인차원을 넘어 회사의 조직적 차원에서 광범위한 비위 행위가 일어나고 있다고 생각해야 할 문제다. 개인이 아닌 지역 언론 구조의 문제에 기인한다. 지역 언론 스스로 문제에 대한 답을 내 놓아야 한다. 이제 지역 언론 스스로 답할 차례다. ※ 이 칼럼은 2017년 2월 <굿모닝충청>에 기재된 원고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