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전을 사람의 만남이 아름다운 도시로,

열린시대 새 지방자치를 만들어갑니다.

칼럼·기고·주장

지역 공영방송을 지역의 품으로
  • 180

이기동(회원, 대전충남민주언론연합 사무국장)

 

지난 촛불 혁명은 국정농단과 헌법을 유린한 박근혜 정권에 대한 국민의 심판이었다. 3월 10일 헌법재판소의 박근혜 대통령에 대한 파면 선고는 민심의 요구가 헌법에 의해 실현된 역사적 사건이었다. 하지만 대부분의 국민들은 박근혜 퇴진만으로 우리 사회가 정상화 될 수 없음을 우려하고 있다. 여전히 적폐라 불리는 갖은 폐단이 존재하기 때문이다. 촛불 민심이 박근혜 퇴진과 함께 우리 사회의 적폐청산을 지속적으로 요구한 까닭이다. 여기에 더해 권력에 부역했던 부역자 청산도 해결해야 할 과제로 제시되고 있다. 시스템과 인적 청산이 이루어지지 못했던 지난 과거의 역사적 경험에서 나온 촛불민심의 명령이다. 안타깝게도 우리 지역에서도 청산해야 할 적폐와 부역자 청산 과제가 산적해 있다. 이제 청산해야 할 적폐가 무엇인지, 퇴출 시켜야 할 부역자가 누구인지 가려내야 할 시점이다. 그 한 가지가 지난 정권 시절 가장 심각한 문제를 야기했던 권력의 언론장악문제 해결이다. 공영방송 정상화, 언론적폐 청산 과제다. 최근 지역에서는 한 지역 공영방송 사장의 퇴진 요구가 커지고 있다. 대전MBC 이진숙 사장이 그 대상이다. 지난 4월 전국언론노동조합은 언론장악에 부역했던 대표적인 인사 50명을 2차 언론 부역자로 선정 발표했다. 그 50인 중에는 포함 된 이가 바로 대전MBC 이진숙 사장이다. 대전지역 인물로는 유일하게 이진숙 사장이 선정됐다. 이진숙 사장은 대표적인 MBC 몰락의 책임자로 거명되고 있다. 4월 언론장악 부역자로 함께 선정된 MBC 김재철 사장 시절 기획홍보본부장과 보도본부장으로 재직하면서 이명박, 박근혜 정권의 MBC 장악 시도에 적극 부역했던 인물이다. 2012년 당시 MBC 노조가 진행한 170여일 간의 파업 투쟁을 대규모 해고와 징계로 탄압했다. 대선을 앞둔 시점에서는 최필립 전 정수장학회 이사장을 만나 정수장학회의 방송문화진흥회 지분 매각 논의 사실이 녹취록을 통해 공개되면서 큰 파문을 일으키기도 했다. 2014년 보도본부장으로 재직 당시에는 4.16 세월호 참사와 관련 MBC 보도를 총괄하면서 MBC를 기레기로 전락시킨 장본인이기도 하다. 공영방송 MBC의 공공성과 독립성을 훼손한 이진숙 사장의 행태는 대전MBC에 와서도 크게 다라지지 않았다. 최근 발표된 대전MBC 노동조합의 민실위 보고서를 통해 그 실상이 공개되기도 했다. 공개된 대전MBC 노조 민실위 보고서에 따르면 지난 2015년 대전MBC 사장으로 이진숙 사장이 취임 한 이후 언론으로서의 공공성과 독립성을 잃고 지역 시민들의 신뢰역시 잃었다. 촛불 집회 지연, 축소 보도로 공영성이 훼손 됐고, 지역과 무관한 뜬금없는 중동 보도로 방송을 사유화 했다. NGO 및 노동 이슈를 외면하는가 하면 고의 누락 또는 기사들의 취재, 보도제작물을 결방시켰다. 부끄러운 일이 지만 대전MBC 내부에서 벌어지고 있는 일 들이었다. 이진숙 사장의 퇴진은 과거 정부에서 권력에 부역했던 언론 부역자를 청산하는 일로 그치지 않는다. 바로 지역의 자산인 지역 공영방송을 정상화하는 과정이기 때문이다. 지역 공영방송임에도 불구하고 대전MBC는 창사 이후 단 한 번도 지역 출신 사장이 대전MBC를 이끌어 본 적이 없다. MBC 본사의 인력 적체 해소의 수단으로 대전MBC 사장자리가 이용됐다. 그렇다보니 지역 공영방송으로서의 비전을 통해 지역사회와 소통한 적이 없다. 지역의 공공 자산인 대전MBC라는 공영방송이 제역할을 하지 못한 이유다. 이제 공영방송 대전MBC를 지역의 품으로 온전히 되돌려놓아야 한다. 현재로서 그 유일한 방법은 대전MBC 이진숙 사장 퇴진 운동이다. ※ 이 칼럼은 2017년 7월 <굿모닝충청>에 기재된 원고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