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전을 사람의 만남이 아름다운 도시로,
열린시대 새 지방자치를 만들어갑니다.
이용원(회원, 월간토마토 편집국장) 한동안 잠잠했던 옛 충남도청 활용방안이 다시 수면 위로 떠올랐다. ‘도청 이전을 위한 도시 건설 및 지원에 관한 특별법 일부 개정안’이 국회를 통과하면서다. 그동안 소수 의견으로 ‘대전시 매입’에 관한 주장이 있었다. 가능성이 희박하지만 ‘국가매입 후 대전시에 무상 양여’ 목소리도 있었다. 이 목소리의 핵심은 옛 충남도청 활용 방안을 모색하고 추진하는 주도권을 대전시가 가져야 한다는 것이었다. 정부가 지역 이해와 목소리를 얼마나 반영할 지가 불투명하기 때문이다. 이런 목소리는 ‘예산’에 눌려 ‘철딱서니 없는 주장’으로 치부됐다. 이런 질책이 논리적으로 설득력은 있어 보인다. 가뜩이나 부족한 지방 재정 상황에서 800억 원 가량을 들여 굳이 매입할 필요는 없다는 주장이다. 근데, 조금 껄적지근 하다. 이런 접근이 ‘가치’가 아닌 ‘돈’에 무게 중심을 과하게 둔 느낌 때문이다. 마치 천덕꾸러기를 처리하지 못해 전전긍긍하는 태도처럼 보인다. 물론, 매입뿐만 아니라 이후 운영, 관리비용까지 고려하면 정부 예산을 들여 매입하는 것이 무척 합리적 태도처럼 보일 수 있다. 정부는 이미 내년 옛 충남도청 활용방안과 관련해 용역 예산 10억 원을 반영했다. 이 용역과정에 옛 충남도청이 있는 대전광역시 상황을 얼마나 고려할 지는 아직 모르겠다. 근데 사실 이것보다 중요한 건, 정부를 압박할 만한 우리 대안을 갖고 있는가다. 우리도 이미 활용방안에 관한 용역을 진행했고 정부차원의 용역도 이미 한 차례 있었다. 그 용역 결과가 민심을 설득해 의견을 하나로 모을 대안다운 면모를 갖추지 못해 안타깝지만 말이다. 최소한 다른 사람 손으로 코를 풀겠다는 심보를 가지려면 이를 통제할 만한 자신감이 있어야 한다. 그래야 내 손에 더러운 코 안 묻혔다고 자랑할 수 있다. 통제가 안 되면 자칫 그 손에 뺨을 호되게 맞을 수 있다는 사실을 명심해야 한다. 옛 충남도청과 함께 원도심의 상징적 공간인 충남도지사 관사를 포함한 대흥동 관사촌이다. 이 관사촌 활용방안도 어느 정도 정리된듯 했는데 어찌 돌아가고 있는지 모르겠다. 옛 충남도청과 관사촌 두 곳의 활용방안 모색 과정에서 공통점을 굳이 찾는다면 다양한 가능성과 방안을 모두 끌어내기라도 하겠다는 듯 엄청나게 많은 대안이 설왕설래하지만 뚜렷하게 ‘이것이다!’라고 무릎을 칠만한 내용은 보이지 않는다는 점이다. 오락기계 상자 안 두더지처럼 쑥 올라왔다가 금세 쏙 들어가버린다. 왜 그런걸까? 정책 결정 기관의 리더십 부재라고 말해버리면 무척 편하겠지만 그렇게 정리해버리기에는 마음이 불편하다. 오히려 도시가 축적한 ‘역량’의 수준을 전혀 고려하지 않은 채 ‘바람’만 이야기하고 있기 때문이라는 생각이 든다. 그러니 어떤 이야기를 들어도 ‘뜬구름’처럼 들린다. 다 좋은 이야기이기는 한데 구체적인 그림이 머릿속에 그려지지 않는 것이다. 도무지 고개를 끄덕일 수가 없다. 대안모색의 출발선은 바로 이 지점이라는 생각이다. 우리 도시가 갖춘 역량을 명확하게 파악하고 이 역량에 맞춰 대안을 모색하자는 얘기다. 이 역량을 키우고 축적할 수 있는 그림을 그려야지 내용을 채우기도 어려운 대안을 세워 놓고 여기에 끼워맞추려다 보면 엄청난 부작용을 감수할 수밖에 없다. 안타깝게도 시간이 많지 않다. 그렇다고 조급증을 낼 필요는 없다. 당분간 두 곳 모두 어떻게 쓸 것인지 결정을 유예하는데 힘을 모아서라도 시행착오를 줄이며 치밀하게 대안을 모색하였으면 좋겠다. 대안을 어떻게 모색할 것인가에 관한 대안을 먼저 내놓아야 할 시점이다. 그나저나 관사촌은 충청남도에서 5년 간 공짜로 빌려 쓰겠다는 계약을 올해 체결해 리모델링 공사에 들어간다고 했는데 어떻게 되었는지 모르겠다. 민선 6기가 시작하면서 조용하다. 이거라도 정부 예산을 최대한 확보해 대전시에서 매입할 수는 없는 건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