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전을 사람의 만남이 아름다운 도시로,
열린시대 새 지방자치를 만들어갑니다.
전쟁산업 확대를 멈추고, 평화를 위한 과학기술 확대를 요구한다
- 평화를 외치던 어제의 황정아가, 방산산업을 말하는 오늘의 황정아에게 묻습니다 -
황정아 의원은 지난 2024년 11월 확산탄 생산 반대 기자회견에 함께하며 전쟁과 살상무기 확산을 반대했다. 그러나 불과 1년 만인 2025년 9월 11일 더불어민주당 방위산업특별위원회 위원으로 위촉되어 방산 수출 G4 달성을 목표로 ‘무기 판매 촉진’을 공언하고 있다. 그는 SNS를 통해 유성이 국방과학연구소와 방산업체들이 밀집한 지역임을 강조하며, 방산 수출을 세계 4대 강국 수준으로 끌어올리기 위한 체계적 지원이 절실하다고 주장했다. 또한 러시아-우크라이나 전쟁, 중동, 동아시아 군비 경쟁으로 국방비 지출이 급증하는 상황을 언급하며, 최근 3년간 한국 방산 수출이 연평균 135억 달러 수준으로 급성장했음을 근거로 적극적인 지원 전략 마련과 특위 차원의 뒷받침을 다짐했다. 그러나 이는 스스로 내세운 평화의 원칙을 정면으로 배반하는 발언이며, 시민들이 납득하기 어려운 모순이다.
지금 팔레스타인에서는 수만 명의 사람들이 집단학살과 기아 속에 죽어가고 있다. 이런 참혹한 현실을 두고 무기 산업 확대를 이야기하는 것은 곧 학살에 동조하고 지원하겠다는 것과 다르지 않다. 전쟁의 참상을 산업적 기회로 포장하는 태도는 평화를 요구하는 시민사회의 목소리를 외면하는 처사다.
지난 2024년 9월 19일, 대전 방위사업청 앞에서 시민사회는 “한국 정부의 이스라엘 무기 수출 중단”을 촉구하는 집회를 열었다. 참가자들은 2014년부터 2022년까지 한국이 이스라엘에 약 4,390만 달러(약 570억 원) 규모의 무기를 수출해 왔다는 사실을 폭로하며, 그 무기들이 팔레스타인 집단학살에 사용될 수 있다는 우려를 제기했다. 집회에서는 활동가, 종교인, 국제앰네스티 등이 발언에 나서 국제인도법을 반복적으로 위반하는 이스라엘에 대한 즉각적인 무기 금수 조치를 요구했다. 대전 시민사회는 “방사청도 공범이다, 무기 수출 중단하라”는 구호를 외쳤고, 9천 명이 넘는 국내외 시민들의 서명을 방위사업청에 직접 전달했다.
그럼에도 황 의원은 과학기술자의 대변인임을 자처하며 국회에 섰다. 그러나 정작 그의 지역구 한가운데 있는 카이스트 앞에서는 지난 8월 18일, 연구자들과 시민사회단체가 모여 이스라엘의 집단학살에 동조하는 과학기술 협력을 규탄하고, 교류 중단을 요구하는 기자회견을 열었다. 이들은 과학기술이 인류의 평화에 기여해야 한다는 원칙을 분명히 내세웠지만, 황 의원은 그 목소리에 침묵했다. 전 세계 곳곳에서 팔레스타인 해방과 평화를 위해 연대하는 연구자들의 외침 역시 외면되었다. 과학기술은 평화와 공존을 위한 공적 자산이어야 함에도, 황 의원은 무기를 팔아 지역구의 경제적 이익을 챙기려는 행보에만 몰두하고 있다.
대전참여자치시민연대 평화연대위원회는 다시 묻는다.
평화를 약속했던 어제의 황정아는 어디에 있는가? 오늘 방산산업을 말하는 황정아는 과거 스스로의 약속 앞에 어떻게 답할 것인가? 대전시민들은 전쟁 위기를 ‘시장 확대’로, 전쟁을 ‘실전 경험’으로 미화하는 전쟁 장사를 멈추고, 과학기술이 평화에 기여할 수 있는 방안에 대한 논의를 진행할 것을 강력히 요구한다.
2025년 9월 15일
대전참여자치시민연대 평화연대위원회